서브메뉴

“꿈, 열정, 에너지 가득한 복지실습장학생들의 이야기”

복지실습장학생들은 예비사회복지사로 성장하기 위하여 매일 그날의 교육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의 꿈을 펼칠 복지실습장학생들을 응원해주세요!

2024년 1월 22일 (월) 실습일지 이유경

2024.01.22

  • 작성자 이유경
  • 조회수 115
  • 학교 동국대학교
  • 실습일 2024-01-22
  • 실습내용 09:30 - 12:00 성북장애인복지관
    14:00 - 15:00 행복마을프로그램 중간점검 (정은영 과장님)
    15:00 - 17:00 조별과제준비
    17:00 - 18:00 종료피드백 (이해송 대리님)
  • 첨부파일 2024년 1월 22일 (월) 실습일지 이유경.hwp

[성북장애인복지관]

성북장애인복지관은 성북구의 중앙에 위치해있지 않아, 복지관 안에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직접 방문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복지관을 라운딩하며 느낀 점은 이용자들을 배려한 시설이라는 것이다. 관악장애인복지관과 승가원행복마을에서도 본 AAC가 공간마다 부착돼있었다. 또한, 색깔이 정해져있어(ex. 주황층) 장애인 이용자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특히 성북장애인복지관의 3층은 장애아동, 발달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곳이다. 이용자의 도전적 행동을 가라앉히고,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핑크색 벽으로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건물 몇 층을 가도 초록풀이 가득했다. 이는 복지관 앞에 고가대로가 있어, ‘자동차, 매연이라는 갑갑한 이미지를 막기 위해서이다. 복지관을 자연친화적 공간으로 마련해, 이용자들이 편하게 힐링할 수 있는 느낌이 든다.

인상 깊었던 지역특화사업으로는 첫 번째, 장애인 사회적 고립가구 발굴 및 지원사업 희희낙락이다. 고립가구 사업은 방문한 모든 산하 복지관에서 설명을 들었는데, 성북장애인복지관만의 특징을 생각해봤다. 성북장애인복지관은 주민발견단의 발굴활동이 더욱 체계적이라고 느꼈다. 집에 대상자가 계실 경우, 안 계실 경우로 가이드라인을 나눴고, 재방문, 재재방문까지 고려했다. , 상세주소(ex. 101)까지 모를 경우, 그 건물의 모든 집에 프로그램 안내서를 부착한다. 본격적인 발굴 전에는, 양성 교육을 8회기를 진행해, 전문성을 키운다는 체계적인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지역사회 민간협업체계를 더 강화하는 중이다. 관악장애인복지관은 민간 반찬가게, 마트와 연계한다는 점을 통해 더욱 지역사회와의 연대가 특징으로 보였다. 성북장애인복지관은 지역사회 상인, 상점과의 연계를 2월부터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씀해주셨다.

다음으로, 배드민턴 선수단 특화사업이 인상 깊었다. 이전까지 장애인의 직업군하면, ‘바리스타, 베이킹, 사무부조, 청소보조로 한정적으로 떠올랐다. 장애인에게도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잘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배드민턴 선수단에서 성북장애인복지관의 장애인의 자립, 진로를 위한 노력이 느껴졌다. 실제 배드민턴 전문선수로 양성된다는 점도 신기했지만, 이를 통해 장애인식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새로웠다. 일반인 동호회, 단체가 장애인배드민턴선수단과 함께 배드민턴이라는 취미를 공유하고, 경기하면서 장애편견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경기 전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진행되는데, 장애인식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장애인의 자립을 도울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함께하는 비장애인도 장애인을 더 존중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정말 유익한 사업이라고 느꼈다.

 

 

 

[행복마을프로그램 중간점검]

지난 피드백을 통해 우선 승가원행복마을 프로그램 사례를 찾아보고, 발달장애아동의 욕구를 조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계획을 새롭게 작성했다. 과장님께 다시 피드백을 받으며, 만약 진행했다면 어떻게 하면 좋았을까를 생각해봤다.

첫 번째, 활동을 계획할 때 하나의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1팀은 컵에 실을 매다는 것, 컵을 쌓는 것 등 여러 단계가 있는 활동을 계획했다. 과장님께서 여러 단계가 들어있는 활동으로 계획하면, 매 단계마다 다른 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피드백해주셨다. 다른 활동을 하는 것이므로 성과목표의 달성 수준을 다 다르게 계획해야 하는데다가, 완벽히 달성하기 어렵다.

두 번째, 목적이 명확해야 한다. 우리 팀은 <발달장애아동의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상자 속 물건 맞히기> 명의 프로그램을 계획했다. 우선, 프로그램명에 목적이 들어가 있지 않다.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것은 행위이고, 그래서 어떤 도움을 줄 건지가 빠져있다. 또한, 우리 팀의 프로그램은 퀴즈를 맞히는 것이 핵심인지, ‘감각을 맞히는 것이 핵심인지 모호하다. 우리 팀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의 촉각 인지 능력 강화로 설정하면 좋을 것 같다. , 퀴즈를 맞히는 것보다는 촉각을 인지하는 것으로, 아이들 모두가 촉각을 느끼며 다양한 답을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물건 맞히기가 끝나면, 물건마다 배운 촉각을 말하도록 해, ‘아이들이 그 날 배운 촉각 중 a개를 기억하는 것을 성과지표로 설정하면 좋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경험한다’, ‘고무한다’, ‘지지한다같은 말은 지양해야 한다. 이 말은 체험하는 데서 끝난다는 말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입장에서 작성된 것으로, 장애아동의 입장에서 어떤 성과가 있을지, 어떤 기대효과가 있을지 생각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두 번의 피드백을 받았지만, 아직도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은 어려운 것 같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 계획서는 장애아동에게 이 30분 프로그램이 현실적으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서, 현실적인 경험에 초점을 맞췄는데, 너무 기대효과를 없애버린 것 같다. 이번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을 통해 들은 많은 피드백을 기억하여, 다음 학기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강의 때 나아진 계획서를 만들어야겠다. 

정기후원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