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꿈, 열정, 에너지 가득한 복지실습장학생들의 이야기”

복지실습장학생들은 예비사회복지사로 성장하기 위하여 매일 그날의 교육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의 꿈을 펼칠 복지실습장학생들을 응원해주세요!

2022년 1월 13일 (목) 실습일지 배경탁

2022.01.14

  • 작성자 배경탁
  • 조회수 525
  • 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실습일 2022-01-13
  • 실습내용 09:00 – 09:30 법인사무국 아침회의
    09:30 – 10:00 아침회의 (유정화 부장, 이해송 대리)
    10:00 – 12:00 장애바로알기 사업 (이용진 대리)
    13:00 – 18:00 삼전종합사회복지관 기관 방문
  • 첨부파일 2022년 1월 13일 (목) 실습일지 배경탁.hwp
 <장애바로알기 사업>
 복지사업팀의 이용진 대리님께서는 <장애바로알기 사업> 교육을 통해 장애바로알기교육, 장애바로알기공모전, 승가원행복달력에 대하여 설명하셨다. 특히, 장애바로알기교육을 연령대별로 다르게 접근한 것이 인상 깊었는데 크게 어린이나눔교육, 초중고장애이해교육, 성인법정의무교육으로 나눌 수 있었다. 유아들은 장애에 대한 명확한 인지가 어렵고, 성인은 이미 장애에 대해 학습되어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등 연령대별로 장애에 대하여 다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스로 돌이켜 보면 고등학생 때에는 대학 입시에 얽매여 정규수업 외의 교육을 제대로 듣지 않았던 것,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생각을 당당하게 말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연령대별 장애바로알기교육에 반영하였다는 것은 매우 현실적으로 느껴졌다.
 부가적으로 진행되었던 시지각협응장애 공감활동을 통해서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겪게 되는 어려움을 체험할 수 있었다. 단순히 교육을 듣는 것보다 거울과 연필을 활용하여 직접 체험해 보니 시지각협응장애의 어려움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이 교육 전에 시지각협응장애를 갖고 계신 분을 뵈었을 때면 ‘뭐지 글 잘 못 쓰시나? 아니면 손에 힘이 잘 안 들어가시나?’라고 답답하게 생각하며 그분의 어려움에 공감하지 못 했을 것이다. 그러나 시지각협응장애 공감활동을 통해 시각으로 인지는 하였지만, 그것을 손으로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에 충분한 시간을 통해 표현을 다 하실 때까지 기다릴 수 있게 되었다. 내 이름조차도 원하는 대로 잘 표현하지 못한다는 답답함을 거울과 연필이라는 일상 소재를 통해 알게 되었고, 일상에서 구하기 쉬운 준비물들이기에 주변 지인들에게도 한 번씩 공유하며 시지각협응장애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생각하였다.
 이용진 대리님의 <장애바로알기 퀴즈>, <장애이해교육>을 들으며, 일상에서 장애로 인하여 불편한 것들을 찾아보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장애인주차구역과 관련하여 장애인을 표현하는 픽토그램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해당 장애인 표시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픽토그램과 능동적인 픽토그램 두 가지가 있는데 우리 일상에서는 수동적인 픽토그램이 조금 많지만 둘 다 볼 수 있기는 하다. 개인적으로는 능동적인 픽토그램을 선호하는데 승가원 법인사무국의 화장실에서는 수동적인 픽토그램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불교장애복지 전문법인을 지향하는 승가원에서는 능동적인 픽토그램을 사용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과 함께 능동적인 픽토그램에 대해서 ‘직접 휠체어를 끌 수 있는 사람만 장애인이야?’라는 논란도 있을 수 있다는 것과 혹은 화장실 표시를 바꾸는 것도 후원가족님의 후원금이 사용되는 것인데 ‘후원금이 좀 더 실질적으로 장애가족분들께 돌아가기 위해서 그런 것일까?’라며 화장실 표시에 대해서 생각하였다.

 <삼전종합사회복지관 기관 방문>
 오후에는 서울 송파구 삼전동에 위치한 승가원 산하기관인 삼전종합사회복지관을 방문하였다. 이상봉 대리님께서 기관 라운딩을 시작으로 삼전종합사회복지관에 대하여 설명해 주셨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은 모든 곳이 지역주민들을 위한 공간을 위해 잘 활용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지하에 있는 후원 물품 보관실은 코로나 전에 주변 고등학생들의 밴드 동아리 연습을 위해 사용하기도 하며, 여러 음식을 만들 수 있는 쿠킹스토리에서는 아동부터 가족, 어르신까지 여러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고 하셨다. 내가 지역주민이더라도 자주 오고 싶을 정도로 깔끔하고 이용자를 많이 고려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관라운딩을 마친 후 프로그램실에 모여 삼전종합사회복지관에 대한 소개와 질문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동료 실습생들이 공통으로 가졌던 타 사회복지관과 다른 조직도 구성에서는 서울시의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사업과 연관하여 사회복지관 내 조직도가 개편된 것임을 알게 되었다. 기존에 제공되었던 복지 서비스를 지역 현황과 상황에 맞춰 보다 주민들에게 가깝게 제공하기 위해서 4개의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하셨다. 특화사업으로는 크게 고시원 1인 가구를 위한 ‘다독이다’와 여러 ‘장애복지사업’ 그리고 부모의 공동육아 품앗이 ‘부둥부둥’으로 세 가지 있었다. 이는 지역주민들의 특징과 욕구가 반영된 사업들이 많았다. 송파구라는 지역이 서울이지만 그 안에서 소득 격차가 커서 주변에 고시원 등 주거취약형태가 많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신혼부부들이 서울 도심에서 벗어나 조금 외곽에 자리 잡으면서 맞벌이와 육아 정보 부족에 따른 공동 육아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욕구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홈페이지를 통해 기관에 대해서 탐색해 보았을 때는 해당 지역주민들의 욕구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고 사업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송파구 지역의 특징과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대해서 이해하니 삼전종합사회복지관의 사업들이 눈에 들어오게 되었고 사업 운영에 대한 이해가 쉬웠다. 이를 통해 덕양행신종합사회복지관 사전 조사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 및 지역주민의 특징과 욕구를 함께 고려하여 기관 홈페이지를 찾아볼 것을 다짐하였다.
 장애복지사업과 관련하여 ‘우다다프렌즈’라는 장애청소년 지역사회통합 프로그램이 인상 깊었다. 처음에는 다른 기관처럼 장애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난타를 운영하였고, 그 이후에 난타 대신 장애청소년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해 비장애인을 봉사자로 운영하여 함께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제는 비장애청소년도 봉사자가 아닌 참여 대상으로 운영하여 장애청소년 6명과 비장애청소년 6명이 함께 지역기반의 청소년 통합활동을 진행함을 알 수 있었다. 단순히 장애청소년만을 참여 대상자로 보는 것은 편견일 수도 있고, 비장애청소년까지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청소년으로서 참여 대상자로 포함한 것을 통해 장애복지의 사회통합을 정말 잘 녹인 사업이라고 생각하였다. 실제 이용자들의 만족도도 높고, 지역사회에서 활동하여 지역주민들에게 장애청소년과 비장애청소년이 함께 어우러지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설명하셨다.
 코로나로 인하여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대해 참관하지 못하는 것은 아쉬웠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이용자분들이 종합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과 공간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는 것과 산하기관 근무가족분들이 이용자분들을 만나 뵙기 어려워진 상황이 더 아쉬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코로나 상황 속에서도 주민 간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모임을 지원하고, 전화나 영상통화 등 여러 비대면 방법으로 지역주민과 소통하고자 하는 삼전종합사회복지관의 모습은 정말 인상 깊었다.​
정기후원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