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꿈, 열정, 에너지 가득한 복지실습장학생들의 이야기”

복지실습장학생들은 예비사회복지사로 성장하기 위하여 매일 그날의 교육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의 꿈을 펼칠 복지실습장학생들을 응원해주세요!

2024년 1월 16일 (화) 실습일지 안선경 (중간평가서 포함)

2024.01.17

 

<행복나눔캠페인>

 

 2번째 캠페인 장소는 성신여대 입구 앞 1번 출구였다. 지난번 캠페인 장소인 충무로와 유사하게 바로 앞에 복합상가와 영화관이 위치해 건물로 유입되는 유동 인구가 있었으며, 지하철 출구와 골목이 교차하는 지점에 포인트가 위치해 자연스러운 블로킹을 통한 어프로치가 가능한 곳이었다. 또한, 근처에 성신여대와 돈암시장이 있기에 대학생과 노년층 비율이 높다는 것, 거주 중심 지역이기에 출근 시간이 지난 오전에는 중장년층이 적다는 점도 특징이었다. 지난 오후 캠페인과 비교했을 때, 오전 시간대의 특징은 대부분 시민들의 이동에 목적성이 분명하다는 점이었다. 오후 시간대가 약속에 늦어서라는 사유로 거절당했다면, 오전 시간대는 대게 병원 예약 때문에’,‘일에 늦어서등 일정에 정해진 시간이 있기에 서두르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번 캠페인에서는 거절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어프로치 전후의 상황과 설명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거절 상황을 예측해 이에 대한 대응을 준비해 보았다. 1) 고개 인사, 손사래 등 비언어적 표현을 하며 지나치는 시민들에게는 캠페인 권유 멘트를 던진 뒤, 한 번 더장애아동들 이야기 한 번 들어주세요~’‘사회복지사들이 나왔습니다등 추가 멘트를 던져 발길을 돌리기 위한 노력의 자세를 취한다. 2) 시간이 없어 돌아오는 길에 참여하겠다는 거절의 멘트엔 그땐 저희가 없을 수 있어서요. 30초면 되는데, 한 번 들어주시겠어요?’라며 재권유한다. 3) 학생이어서(혹은 여유가 없어서) 후원을 할 여력이 없다는 거절의 멘트엔 저희 승가원 후원은 기간과 금액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괜찮으신 선에서 작은 나눔이라도 전해주신다면 장애아동들의 자립에 큰 응원의 힘이 될거예요.’등 부담을 덜어드릴 수 있는 후원방법을 제안하고, 꾸준한 나눔의 중요성을 어필한다. 이 밖에도 오늘의 활동을 통해 나의 보완점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중요한 건 이점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다음 캠페인에 반영하는지에 있을 것이다. 다음 행복나눔캠페인의 목표는 아래 4가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더욱 열심히 임하려 한다.

 

*다음 캠페인 때 반드시 보완할 점*

1) 펜이 이동하는 시민들의 시선에 걸릴 수 있게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2) ‘~해주시겠어요?’의 끝을 올리는 것이 부자연스럽게 들리기 때문에 나한테 어울리는 어투로 수정하기

3) ‘어려우실까요?’라는 대답으로 이어지기 쉽기에, ‘괜찮으실까요?’등 긍정적 표현을 사용하기

4) 고민 중이신 시민분들께는 시간을 드리기, 침묵을 끝내기 위해 빠르게 진행하려는 모습이 나온 점 주의하기

 

 

<신문사 그림자 체험>

 

 오전 행복나눔캠페인이 끝난 후, 우리의 기사가 실릴 자비복지승가원 제작의 마지막 단계를 체험하러 신문사에 방문했다. 우리 팀이 작성한 탑기사를 퇴고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산하기관의 기사 발문과 제목 수정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하고, 유정화 부장님과 각 지면 담당자분들께서 함께하는 중간회의에 참여해 신문의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을 옆에서 보고 배울 수 있었다. 조금 떨어져 관찰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회의였지만, 담당자분들께서 수정이 완료된 각 지면 진행사항을 공유하실 때 이 정도면 완성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바라봤었다. 하지만, 레이아웃의 미세한 간격 조정, 사진의 색감과 기사의 조화, 일러스트의 적절성 등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에서 피드백이 나오는 것을 보며 기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과정에서 어떠한 세심함이 반영되어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었다. 특히, 좌우반전을 통해 사진 속 인물의 시선을 기사의 안쪽으로 향하게 하면 좋을 것 같다는 피드백을 들으며 좋은 신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넓은 시각과 관찰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신문 제작은 정말 많은 눈길과 손길이 필요한 작업이었다. 후원가족과 장애가족, 그리고 근무가족을 연결하는 승가원만의 매개체가 완성되는 과정이기에 더욱 큰 노력과 관심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신문사 그림자 체험은 인터뷰와 기사 작성만으로는 부족했던 나눔의 의미를 더하는 과정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는 과정이었던 것 같다. 오늘 실습생들이 해당 일과를 통해 자비복지승가원 신문에 더 애정을 느낄 수밖에 없게 된 것처럼 후원가족의 인터뷰 과정부터 기사작성, 그리고 신문사에서 최종적으로 신문을 제작하는 과정을 브이로그 형식으로 담아 후원가족님들께 공개한다면 자비복지승가원의 의미가 더욱 와닿게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다.

 

정기후원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