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꿈, 열정, 에너지 가득한 복지실습장학생들의 이야기”

복지실습장학생들은 예비사회복지사로 성장하기 위하여 매일 그날의 교육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의 꿈을 펼칠 복지실습장학생들을 응원해주세요!

2024년 1월 18일 (목) 실습일지 최고운

2024.01.19

  • 작성자 최고운
  • 조회수 120
  • 학교 가톨릭대학교
  • 실습일 2024-01-18
  • 실습내용 09:30 – 10:00 아침회의
    10:00 – 12:00 후원개발사업(자비나눔) (정재봉 선임사회복지사님)
    14:00 – 18:00 삼전종합사회복지관
  • 첨부파일 2024년 1월 18일 (목) 실습일지 최고운.hwp

[후원개발사업(자비나눔)]

자비나눔은 쉽게 말해 행복나눔캠페인을사찰에서 진행하는 것이라는 설명과 함께 교육이 시작됐다. 불교의 4대 명절이라 불리는 입춘, 부처님오신날, 백중, 동지에 매년 정기법회가 열리고 이때 사찰과 함께하는 자비나눔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담당자의 관점에서 사찰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부분은 시간적/거리적 제약에 대한 부분이다. 투입되는 인풋에 비해 아웃풋이 제대로 창출되지 않으면 그 사업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복지사님의 말씀을 듣고 실무자로서 단순히 해당 사업을진행하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 항상 목적과 목표를 고려하여 모든 상황(요건)을 컨트롤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됐다. 더불어 승가원은 불교와 떼려야 뗄 수 없다. 이를 어떻게 활용하여 승가원이 가진 불교의 색채를 지키면서도 후원가족을 대상으로 모금 사업을 잘 진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교육을 들으며 가장 중점적으로 생각한 부분은 행복나눔캠페인과 자비나눔의 차이점이다. 행복나눔캠페인은 불특성 다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불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장애아동의 자립과 행복에 초점을 맞춘다. 자비나눔은 불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승가원의 정체성인 불교를 드러낸다. 실제로 자비나눔을 진행할 때는 합장인사가 기본이라고 하셨다. 그만큼 자비나눔은 승가원이 가지고 있는 불교라는 색을 잘 활용한 사업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복지사님께서는 사찰 섭외만 5-60곳을 할 때도 있다고 하시며 사찰 섭외가 어려움에도 계속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셨다. 가장 큰 이유는후원유지율이다. 보통 불교에서는 더 큰 복을 쌓기 위해 나눔을 하는 경우가 많고 때문에 보시함에 나의 복을 바라며 나눔을 실천해 주시고 계신다. 때문에 종교적 이유로 정말 뜻이 있는 불자분들이 후원을 해주시기에 행복나눔캠페인보다 후원중단률이 적다고 말씀해 주셨다.

자비나눔에서는 연꽃저금통과 사찰 전용 배너를 사용하는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특히 이 연꽃저금통은 자비나눔에서 중요한 어프로치 도구가 되며 추가 후원까지 이어지는 계기로서 홍보도구로 잘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복지사님께서는 연꽃저금통이 생각보다 반응이 좋고 불자님들이 저금통을 많이 채워주신다고 하셨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홍보도구에 대한 방향을 생각했다.‘연꽃등 혹은 연꽃초을 활용하여 후원을 해 주시는 불자님들께 연꽃에 등을 밝혀주셔서 감사합니다~’혹은 어프로치를 시도할 때 연꽃에 등을 밝혀주세요~’,‘장애아동의 미래에 환한 불을 비춰주세요~’라는 멘트를 함께한다면 더 많은 관심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다만 휴대용 연꽃등의 단가는 16,000~18,000원이고, 연꽃초의 경우도 10,000대의 가격으로 측정되어 예산에 부담이 될 것 같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점을 추후 조별 과제에서 더 발전시켜보고자 한다.

 

[삼전종합사회복지관]

복지관에 들어서자마자 시선을 사로잡은 [‘불청지우청하지 않아도 스스로 찾아가는 이웃이 되겠습니다]라는 관훈이 보여 지역주민이 주인이 되는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떤 사업들을 하는지 궁금증이 더해졌다. 먼저 기관 라운딩을 하며 지하 1층부터 4층까지 주요 시설들을 소개해 주셨다. 기억에 남는 점은 복지관 안에 두 곳의 별도시설이 존재했다. 송파키움센터와 삼전어린이집은 복지관 건물에 속해있지만 별도 시설로 운영된다는 점이 기억에 남는다. 삼전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밀착형사회복지를 실현하고 있다. 기존의 사회복지 3대 기능(사례관리, 서비스제공, 지역조직화)에서 더 나아가 이를 통합하여 지역주민의 욕구에 더 깊이 다가가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씀해 주셨다.

복지관 기관소개 교육을 받으며 팀별 특화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먼저 [희망마을팀-석촌동]의 특화사업으로는 중장년 사회참여사업인참살이를 통해 자립역량강화와 사회참여를 목표로 그들을 조직화시켜 사회구성원으로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행복마을팀-삼전동]은 청소년 ESG 사업그린캐스터를 통해 지역 내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성장마을팀-송파1]은 청년고립가구를 위한 청아함사업을 통해 고립·은둔 청년을 위주로 의식주 교육을 하고 있었다. 고립에서 탈피하게끔 참여형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내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게끔 지원한다는 점이 인상깊었다. 또 장애청소년 지원 사업인 우주공사업은 장애-비장애 아동의 통합을 위한 사업으로 승가원의 사내제안(사업부문)을 통해 실행하고 있는 사업이라는 부분에서 인상깊었다. [미소마을팀-방이1]은 고립위기지원사업인 이웃사이다를 통해 고립위기가 있는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그 지역에 속한 이웃주민이 고립주민을 도와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역주민으로 구성된똑똑방문단을 통해 안부확인과 후원전달 등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지역주민이 일정부분 함께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과 함께 만들어나가는 지역사회라는 점에서 인상깊었다.

산하기관 방문을 할 때마다 법인과 산하기관의 연계성을 찾고 그 연계성 안에서 함께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삼전종합사회복지관은 아동/청소년/성인/노인/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복지관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장애아동을 위한 사업이 동시에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우주공 사업뿐만 아니라 장애방과후 교실을 운영하고 있고, 삼전아동발달지원센터를 통해 장애아동과 발달지연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치료를 지원하고 있었다. 물론 법인의 전입금 등 재원적인 측면에서의 연계성도 있겠지만 장애복지 전문법인이라는 승가원의 정체성이 산하기관에서도 잘 이어져 관련 프로그램이 많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끝으로, 오늘 교육을 담당해 주신 한 대희 복지사님께서는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사회복지사로 현장에 나갈 것인지) ‘확신이 중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은 자신에 대한 확신뿐만 아니라 기관에 대한 확신도 중요하고 내가 여기서 일하고자 하는 마음가짐만 있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해주셨다. 지역주민과 가장 가까이서 소통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정기후원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