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승가원은 직원들의 업무능력 향상과 직원별 주특기 개발을 위해
체계적인 직원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더 전문성있는 사회복지사 되기 위해 노력하는 승가원 직원들을 응원합니다.

입사 후 5년까지 주특기 개발을 위한 외부기초교육 실시, 5년차 이상의 직원들에게는 주특기를 선정하여 심화교육 진행

신규직원

단계별 주특기 교육

전화, 글쓰기/ 영업, 마케팅 / 고객만족(CS) / 컴퓨터(포토샵, 일러스트) / 카메라, 동영상, 광고, 홍보

대리

관리자 기초교육 후 주특기 완성을 위한 심화과정 교육 이수

리더십교육 / 인사관리, 홈페이지 관리 /기초관리자교육 / 주특기 심화과정

[직무능력향상교육]사회복지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

2023.10.31

 

1.프로그램의 구조 및 체계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논리적 구조

프로그램의 논리적 구조는 문제(현황)분석과 그에 대한 해결 대안이 제시되어야 함

대표적으로 로직모델이 있음

- 문제상황 투입 활동 산출 성과

- 사회복지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과라고 할 수 있음. 사람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거나 문제상황을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어야 함.

- 하지만 현장에서는 목표전치 상황이 자주 발생함.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고안한 수단이 그 자체가 목적이 되고는 함.

산출과 성과, 활동과 성과가 서로 인과관계를 갖고 있으며, 성과는 반드시 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입증해낼 수 있어야 함.

2) 프로그램 가설

프로그램 가설은 곧 인과관계를 의미함. 사회복지사로서의 실천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

 

 

2. 프로그램의 성과 및 성과평가

1)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의 개념

사회복지 프로그램에서 성과라는 것은 곧 변화(긍정적인 변화)라고 이야기할 수 있음

- 참여자의 태도, 지식, 기술, 가치, 기능, 행동, 지위, 조건 등의 수준 변화

또한 참여자들의 문제해결 또는 욕구 충족, 프로그램에서 궁극적으로 달성되어야 할 목표

2)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평가 개념

성과평가란, 성과가 달성되었다(참여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변화와 관련된 증거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하는 것임

성과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프로그램을 처음 기획할 때부터 문제와 욕구가 명확하게 개념화되지 못해서 그런 것임. 문제상황과 성과는 같은 본질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함.

성과목표에도 3가지의 성과가 있음

- 단기 성과: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 습득, 가치나 태도 변화

- 중기 성과: 의사결정이나 행동의 변화

- 장기 성과: 사회적 지위 향상이나 삶의 조건 개선

 

3. 프로그램 모니터링과 성과평가의 구분

1) 사회복지 프로그램 과정평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

- 형성평가: 프로그램 진행 도중 수행하여 과정평가와 유사

- 촐광평가: 효과성 평가 + 효율성 평가로, 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을 파악하는 성과평가

이외에도 양적평가와 질적평가,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등이 있음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성과평가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초기에 프로그램을 설게할 때 어떤 방법으로 언제 측정할 것인지가 구체화 되지 못해서 그러함

 

2) 사회복지 성과평가의 준비

성과평가의 7단계

1단계: 성과측정을 위한 준비

프로그램 계획시 준비

2단계:측정할 성과 결정

3단계: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의 구체화

4단계: 성과지표 측정을 위한 자료 수집 계획

5단계: 성과측정(성과측정 자료 수집)

실행

6단계: 측정결과의 분석과 보고

종결

7단계: 측정결과의 이용

 

4.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평가의 측정

1) 성과평가의 자료수집 및 측정방법

성과측정을 위한 자료수집

- 수량집계, 표준화된 척도, 만족도 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함

- 면접조사, 관찰, 기록, 영상 등의 질적자료도 활용 가능

- 프로그램 참여자 수기 내용에서 변화를 나타내는 내용을 솎아 내어 분석할 수 있음

- 특히 질적자료는 개념화 밑 범주화의 과정을 통해 변화를 분석할 수 있음( 원자료에서 단어나 문장, 단락 등에서 핵심 의미를 요약하여 파악)

성과의 개념 확장

- 주민공동체, 마을, 환경, 지역사회 등 조직화를 통한 거시적 체계의 변화에서도 성과평가가 중요

- 이러한 거시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성과측정을 위한 척도집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음

- 척도는 문항을 추가하거나 빼는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 자체로 사용해야함.

- 주민조직화 사업의 경우에는 주민 인터뷰를 통해 변화를 분석할 수 있음.

목록

이전글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빅데이터를 통해 진단하는 비영리단체의 디지털 마케팅
정기후원신청